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에서는 장애예술인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창·제작 활동 제고와 장애인의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13개 유형의 장애예술을 지원합니다.
년도 | 건수 |
---|---|
2021 | 224 |
2022 | 231 |
2023 | (공모 진행 중) |
년도 | 금액 |
---|---|
2021 | 5,525 |
2022 | 6,670 |
2023 | 6,640 |
장애예술의 지속적인 성장 토대 마련을 위해 장애예술인 및 장애예술 전문인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과 장애예술인 일자리 개발을 지원합니다.
2020년 창작자·매개자 분야로 구성된 18개 과정 75회차 교육을 시작으로 동시대 예술 경향을 반영하고 융·복합 예술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2 노리미츠인서울 - 공연
No Limits in Seoul 2022 - Performance
2022 노리미츠인서울 - 시각예술매거진
No Limits in Seoul 2022 - Visual Art Magazine
2022 노리미츠인서울 - 노리미츠 토크
No Limits in Seoul 2022 - No Limits Talk
장애예술인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의 기반을 조성하고, 직·간접 고용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을 운영합니다.
정보·지식의 생산과 확산에서 공연·전시 등 콘텐츠 창작 및 향유까지 편의시설 접근성 중심의 관점에서 나아가 장애인 스스로 문화예술을 만들고 즐기기 위한 주체적 접근성을 지원하는 사업을 운영합니다.
장애인의 문화예술 정보접근성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장애인문화예술 정보시스템 – 이음온라인’(www.ieum.or.kr)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음온라인 메인 화면
Ieum Online Website
웹진이음 콘텐츠
Ieum Webzine Content
이음온라인 콘텐츠
Ieum Online Content
국내·외 장애예술 관련 다양한 동향과 담론, 콘텐츠를 소개하고 장애예술의 경계를 확장하는 행사 ‹노리미츠인서울›을 매년 개최하고 있습니다.
2022 노리미츠인서울 - 공연
No Limits in Seoul 2022 - Performance
2022 노리미츠인서울 - 시각예술매거진
No Limits in Seoul 2022 - Visual Art Magazine
2022 노리미츠인서울 - 노리미츠 토크
No Limits in Seoul 2022 - No Limits Talk
2022 노리미츠인서울 - 전시
No Limits in Seoul 2022 - Exhibition
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을 강화하고 향유 기반을 마련합니다.
정보·지식의 생산과 확산에서 공연·전시 등 콘텐츠 창작 및 향유까지 편의시설 접근성 중심의 관점에서 나아가 장애인 스스로 문화예술을 만들고 즐기기 위한 주체적 접근성을 지원하는 사업을 운영합니다.
높은 수준의 창작 및 향유 접근성을 갖춘 문화공간을 구축하여 장애예술 창작 활성화와 문화적 다양성을 구현합니다.
주요 공간 : 실험적이고 다양한 공연이 가능한 블랙박스 공연장, 연습실 3개소, 레지던시·워크숍·쇼케이스 등을 위한 창작스튜디오
다양한 장르의 공연, 전시 및 행사 등 문화예술 창작 발표와 교육의 장입니다.
주요 공간 : 소규모 공연과 행사를 발표할 수 있는 이음아트홀, 시각 및 다원예술 전시에 적합한 이음갤러리, 연습실과 야외무대
이음센터 연습실
Ieum Center Practice Room
이음아트홀
Ieum Art Hall
대학로 이음센터 전경
Ieum Center